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CRUD
- Til
- Nest
- 포트원
- ormconfig.ts
- TypeORMconfig
- NEST좌석
- cachememory
- 내일배움캠프
- 캐시메모리저장후DB저장
- NEST좌석생성
- Class Validation
- 자바스크립트
- Live server
- Nest.js
- get
- joi vs classvalidation
- 테스트결제
- 카카오페이테스트결제
- devcamp
- 캐시메모리DB저장
- 네스트로거
- 좌석생성
- 좌석만들기
- 로그파일저장
- 좌석내가격
- TYPESCRIPT좌석생성
- nestwinston
- TypeORMconfig.ts
- javascript
- Today
- Total
배씨의 개발일지
KPT 본문
KEEP, PROBLEM, TRY
프로젝트를 마무리 지으면서
팀원분들과 함께 만들었고 처음으로 만들어본 웹 페이지!
http://myweb.eba-jvc3wcke.ap-northeast-2.elasticbeanstalk.com/
독수리 오형제
이미지 이름 코멘트 mbti 기록하기 이름 삭제하기 이름 코멘트 변경하기
myweb.eba-jvc3wcke.ap-northeast-2.elasticbeanstalk.com
팀원분들의 느낀 점
김주연 : 어려운 점도 많았지만 다 같이 해결해 가면서 많은 걸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
이승원 : 처음 구상과는 많이 다르게 진행이 되어서 순탄치 않았지만
과정 하나하나가 좋은 경험이 된 것 같습니다.
함형진 : 첫 날, 첫 주, 첫 프로젝트였던 만큼 많이 두근거렸고 덤벙이며 시작했던 것 같습니다.
수영할 때 물에 던져지는 방법이 제일 빠르듯 환경 속에 던져지니 어떻게든 하게 되는 것 같네요.
전반적으로 좋았습니다.
배찬용 : 첫 프로젝트이니 아무래도 아쉬운 부분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.
많은 걸 배울 수 있었습니다.
KEEP
- 서로 질문하고 피드백해 주기
- 서로 부족한 부분 채워주기
- 안 돼도 일단 할 수 있는 데까지라도 해보기
PROBLEM
1. 소통의 부재
2. GIT을 통한 협업에 대한 아쉬움
해결 방안
아무래도 소통이 부족해서 모두 더 할 수 있는데 못했다는 느낌이 강했던지라 보다 조금 더 적극적으로 소통에 임하기
GIT에 대해 조금 더 공부해 오기
TRY
+팀원 분들과의 대화 충분히 나누어보기
+팀원 분들의 코드 보면서 몰랐던 부분 공부하기
+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다면 혼자 헤매지 말고 공부하기
+질문에 바로 피드백하기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같이 알아보기
첫 프로젝트를 마치며...
아무래도 생각보다 남의 코드를 볼 기회가 많지 않기도 했고
남의 코드를 보다 보니 아 이런 식으로도 짤 수 있구나? 하고 많이 느끼기도 했다.
하지만 팀원분들이 가지고 있는 개개인의 장점에 대해서 많이 몰랐던 사실이 너무 아쉽다.
어떤 장점을 가지고 계신지 알았다면 조금 더 역할 분담을 잘하고
보다 많은 것들을 만들어보고 조금 더 시간을 알차게 썼을 텐데 말이다.
그리고 가장 큰 아쉬운 점이라고 한다면 나도 나 자신에 대한 객관화가 되어있지 않은 부분이다.
내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또 어떤 걸 할 수 있는지 명확하게 알지 못한 상태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니
미흡했던 부분이 많이 느껴지는 한 주였다.
앞으로는 부족한 부분들을 메울 수 있게 더욱더 생각하고 노력해야겠다.
아! 그리고 마지막으로 튜터님들의 피드백은 정말 한줄기 빛이었다..
칭찬해 주신 것들 말고도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고 앞으로 이렇게 해야겠다 하는 방향을 잡아주신 것 같다.
'K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PT (0) | 2023.07.24 |
---|---|
뉴스피드 프로젝트를 마치며 (0) | 2023.07.03 |